글쓰기
소수의 사례수 n이 우리 사회에 주는 메시지(초고)
기술교육
2016. 3. 19. 02:26
n은 소수이다.
n은 일반화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사례수 n이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다수 N에 대한 통계보다 소수 n의 사례가 큰 영향력을 발휘하곤 한다.
원자력발전사고는 극히 확률이 낮다. 자동차 사고나 기타 등의 사고로 사람이 죽을 확률이 높다.
MERS로 죽을 확률 보다는 각종 질병으로 사망할 확률이 높다.
정치인은 소수임에도 이들의 도덕성을 문제 삼는다.
특정 교사의 평범한 삶보다는 소수 교사의 도덕성에 어긋나는 행동에 사람들은 관심을 보인다.
소수 n은 전체 N에 속해있다. 아무리 비툴어진 n이라도 N에 속해있다.
사례 n은 극단적이고 일어날 확률이 적다. 다수의 N은 그렇게 행동하지 않는다.
상식을 벗어난 사례 n의 이야기는 재미가 있다.
사례 n의 이야기는 다수 N에게 메시지를 던져준다. 그렇게 하면 안된다고.
사례 n의 이야기로 인해 N집단의 행동을 규제하는 각종 법이 생긴다.
다수의 N에게 n처럼 행동하지 말라는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다.
사례 n 때문에 사회는 좀 더 합리적, 안전하게 변한다.
질적연구가 사례 n에 주목하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