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1, 기술, 첫만남. 5~6교시 연속수업이었다. 4층 1-1반 교실에 들어가니 5줄 시험 대형으로 23명(여 11, 남 12)의 꼬맹이들이 앉아 있었다. 첫만남이었다. 첫, 만남. 신기한 눈으로 나를 쳐다봤다. 일부는 웃었다. 무늬만 중학생이지 아직은 초등학생이었다. "(쿨하게) 안녕, 기술선생님이야" "(모두가) 안녕하세요." 난 빈손으로 교실에 왔다. 이들을 데리고 1층 기술실로 갈 것이기 때문이었다. "모두 빨간책(기술가정 교과서) 들어볼래?" "필통은?" "크롬북을 번호대로 나눠줄테니 나와서 가져가세요." "자 그럼 기술실로 갈까?" "크롬북을 제일 아래 놓고. 그 위에 빨간책. 그리고 필통." "두 손으로 크롬북을 들었으면 이제 복도로 나가볼까?" "여학생은 선생님 오른손에 줄을 서고, 남학생..
1. 수집한 자료는 곧바로 가공할 때 가장 효율적입니다. 새로 발견한 좋은 웹사이트나 추천받은 영상 자료가 있으면 북마크에 등록하지 말고 당장 그 자리에서 정보화 작업을 조금 진행해 보세요. 인상적인 이미지를 찾았다면 아무렇게나 저장하지 말고 파일 제목을 자기 나름대로 새로 붙이세요. 그때그때 귀찮음을 조금만 견디면 나중에 두고두고 편합니다. 이강룡(2016). 글쓰기 기본기. 경기도: 창비. p. 87 2. 어떤 분야의 지식을 체계화한 것이 바로 '학문'입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정교하게 패턴을 찾는 분야가 과학이고요. 과학적 사고의 대표적인 방식은 분석과 분류입니다. 어떤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는지 쪼개 보는 것이 분석이고, 공통 속성을 찾아내 묶는 것이 분류이지요. 글쓰기에도 과학적 태도가 필요합니..
용어(개념) 뜻 용례 구별 차이를 아는 것 떡갈나무와 신갈나무를 구별하다. 구분 어떤 기준으로 가름 나무를 목재용과 잡목으로 구분하다. 분류 같은 종류끼리 묶음 떡갈나무와 신갈나무는 참나무로 분류된다. 분석 구성 요소로 쪼개어 봄 떡갈나무의 잎과 잎자루와 열매를 분석했다. 분리 떼어 내거나 나눠짐 떡갈나무 줄기가 반으로 분리됐다. 이강룡(2016). 글쓰기 기본기. 경기도: 창비. p. 74. categorize, [T] 분류to put people or things into groups with the same features:The books are categorized into beginner and advanced.I would categorize this as a very early exampl..
전문가로 가는 길
우리가 기술과 관련된 체험활동을 개발한다고 했을 때, 이것이 좋은 체험활동 프로그램인지를 평가하는 준거는 여러가지 있을 것이다. 예컨데, 그것이 기술의 어떤 핵심적인 개념을 반영하고 있는지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과제인지. 학생들의 사고력을 유발할 수 있는 과제인지 학생들의 조작적 활동을 유발하는 것인지 등이다. 이와 함께 중요한 것은 이 기술적 체험활동 속에 과학적 지식이 숨어 있어서 학생들은 체험활동을 한 후에 내가 한 체험활동이 과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이론적으로 살펴볼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조건들이 갖춰졌을 때 이루는 이론과 실천을 통합한 하나의 체험활동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