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집한 자료는 곧바로 가공할 때 가장 효율적입니다. 새로 발견한 좋은 웹사이트나 추천받은 영상 자료가 있으면 북마크에 등록하지 말고 당장 그 자리에서 정보화 작업을 조금 진행해 보세요. 인상적인 이미지를 찾았다면 아무렇게나 저장하지 말고 파일 제목을 자기 나름대로 새로 붙이세요. 그때그때 귀찮음을 조금만 견디면 나중에 두고두고 편합니다. 이강룡(2016). 글쓰기 기본기. 경기도: 창비. p. 87 2. 어떤 분야의 지식을 체계화한 것이 바로 '학문'입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정교하게 패턴을 찾는 분야가 과학이고요. 과학적 사고의 대표적인 방식은 분석과 분류입니다. 어떤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는지 쪼개 보는 것이 분석이고, 공통 속성을 찾아내 묶는 것이 분류이지요. 글쓰기에도 과학적 태도가 필요합니..
용어(개념) 뜻 용례 구별 차이를 아는 것 떡갈나무와 신갈나무를 구별하다. 구분 어떤 기준으로 가름 나무를 목재용과 잡목으로 구분하다. 분류 같은 종류끼리 묶음 떡갈나무와 신갈나무는 참나무로 분류된다. 분석 구성 요소로 쪼개어 봄 떡갈나무의 잎과 잎자루와 열매를 분석했다. 분리 떼어 내거나 나눠짐 떡갈나무 줄기가 반으로 분리됐다. 이강룡(2016). 글쓰기 기본기. 경기도: 창비. p. 74. categorize, [T] 분류to put people or things into groups with the same features:The books are categorized into beginner and advanced.I would categorize this as a very early exampl..
n은 소수이다. n은 일반화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사례수 n이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다수 N에 대한 통계보다 소수 n의 사례가 큰 영향력을 발휘하곤 한다. 원자력발전사고는 극히 확률이 낮다. 자동차 사고나 기타 등의 사고로 사람이 죽을 확률이 높다. MERS로 죽을 확률 보다는 각종 질병으로 사망할 확률이 높다. 정치인은 소수임에도 이들의 도덕성을 문제 삼는다. 특정 교사의 평범한 삶보다는 소수 교사의 도덕성에 어긋나는 행동에 사람들은 관심을 보인다. 소수 n은 전체 N에 속해있다. 아무리 비툴어진 n이라도 N에 속해있다. 사례 n은 극단적이고 일어날 확률이 적다. 다수의 N은 그렇게 행동하지 않는다. 상식을 벗어난 사례 n의 이야기는 재미가 있다. 사례..
책을 많이 읽는 편이다. 마음에 드는 책이 있으면 가격에 상관없이 구입을 한다. 그리고 웬만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읽는다. 밑줄도 치고 책을 읽으면서 생각나는 것들도 책 여백에 흔적을 남기면서 한 권의 책을 읽는다. 문제는 책을 한 번 읽고 나서 끝나버린다는 것이다. 어렴풋이 책 내용은 생각나나 책의 구조가 무엇이었는가는 생각나지 않는다. 책을 읽고 정리를 안했기 때문이다. 책을 한 번 읽고 정리를 하자. 그래야 내 것이 된다. 홈페이지에 내가 읽은 책들을 정리하자.
강의록을 만들자. 같은 내용을 일 년 단위로 반복해서 가르칠 때 이전에 작성해 놓은 강의록이 있다면 이후 수업하기가 수월하다. 일 년 전에 내가 어떤 아이디어로 수업을 구조화시켰는데 일 년이 지나고 경험과 이해가 성장하자 이전 강의록을 어떻게 발전시킬지 흔적이 남게 된다. 이해의 성장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강의록은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가? 차시별로 구분하여 차시에 가르쳐야 할 내용을 구조화시킨다. 구조화시킬 때는 어떤 흐름이 자연스러운지 논리적으로 따져본다. 논리적 뼈대가 잡혔으면 이 뼈대에 살을 붙일 수 있는 적절한 예를 찾아 적는다. 이런 강의록이 지속적으로 발전된다면 어느 순간 글을 쓸 때나 교과서 집필 의뢰가 들어왔을 때 풍성한 글을 내놓을 수 있을 것이다. 10년 동안 유사한 내용..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