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로 가는 길
소위 원시인의 사고와 과학적 사고의 차이를 설명하려는 노력은 대부분 다음과 같은 관점을 취한다. 즉, 두 경우에 사고하는 대상은 동일한 데에 비하여, 그 사고과정이 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점에 관한 나의 견해는 전적으로 다르다. 다시 말하면, 신화적인 사고는 현대과학의 사고에 조금도 손색없는 엄밀한 논리를 갖추고 있으며, 그 사이의 차이는 지적 과정의 '질'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지적 과정이 적용되는 대상에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기술공학의 분야에서 잘 알려진 사실과 일치된다. 강철 도끼가 돌 도끼보다 낫다고 하는 것은 전자가 후자보다 잘 만들어졌기 때문이 아니다. 두 개는 똑같이 잘 만들어졌지만, 하나는 강철로 만들어졌고 다른 하나는 돌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신화와 과학에..
윤팔중(1977). 교화와 교육. 배영사. Snook(1972)의 'Indoctrination and Education'을 완역한 것이다. 개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교화라는 말의 의미를 논리적으로 풀어쓰고 있다. 처음에 집중하여 읽었지만 지식과 노력부족으로 인하여 완독하지 못했다. 윤팔중(1976). 교육방법으로서의 교화의 성격과 문제. 교육학연구 14(3).을 읽다. 교수와 훈련은 종류의 차이이며 질의 차이가 아니다.(149) 훈련과 교수의 또 하나의 중요한 차이점은 교수가 반드시 어떤 종류의 대화를 포함하는 정도에 어울리게 그것은 습관의 조장과 행동방식의 변화에 보다는 지식과 신념의 획득에 보다 더 밀접히 연결되는 가르치기의 한가지 대화이다. 그러나 훈련은 이와 정반대이다. 교수는 이해에의 요구에 밀..
그것은 더 많은 사실에 관한 지식을 요구하기 때문일 수 있다. 그것은 더 추상적인 내용이기 때문일 수 있다. 그것은 한 교과가 다른 교과에게 요구되지 않는 기술, 절차, 사고방식을 요구하기 때문일 수도 있고, 심지어 한 교과가 다른 교과를 어떤 방식으로든지 전제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추상성과 복잡성과 같은 요인이 여기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구체적이고 단순한 것보다는 추상적이고 복잡한 것을 파악하는 데에 더 곤란을 느낀다. 학습 사태에서 추상성과 복잡성은 곤란성의 의미 기준이라는 뜻이다. 한 교과가 다른 교과보다 더 추상적이고 복잡하다면 그것은 필연적으로 다른 교과보다 더 어렵다는 것이 당연한 귀결로 따라 나온다. 이홍우(역)(2010). 교육인식론 : 경험과 이해의..
윤리학과 교육 저자 R.S.피터즈 지음 출판사 교육과학사 | 2003-04-25 출간 카테고리 인문 책소개 교육철학의 개론서. 교육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교육에 있어서의 ... '가르친다'는 말은, 그 표준적 어의로 보면, 적어도 그 과정 중의 어느 시점에서는 교사가 자기의 견해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그것을 이해하고 독립적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것, 학생들이 이해를 요청할 때 거기에 응하는 것, 학생들이 충분히 설명을 받았다고 생각할 때까지 설명을 계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어떤 사람에게 이러 이러한 점을 믿게 하였다고 하여, 그것만 가지고, 그에게 그것을 가르쳤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다. 예컨대 사기(詐欺)는 '가르치는' 방법 내지 방식이 아니다. 가르친다는 것은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윤리학과 교육 저자 R.S.피터즈 지음 출판사 교육과학사 | 2003-04-25 출간 카테고리 인문 책소개 교육철학의 개론서. 교육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교육에 있어서의 ... 과학에 관하여 알고 있고 과학적인 사고와 실험을 할 수 있으면서도 진리를 발견하는 일을 소중히 여기지 않거나 과학을 순전히 물질적인 진보를 이룩하는 수단으로만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우리는 이런 사람을 '교육받은'사람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교육받은'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는, 과학과 같은 교과를 소중히 여기며 자기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p. 45). 과학자라고 하더라도 어렸을 때에는 전연 흥미가 없었던 실험을 하도록 강요되었을 경우도 있다. 그와 같이 엄격한 감독하에서 실험을 되풀이하도록 훈련을 받..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