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구의 불빛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려면 '균일한' 직류 전류를 흘려보내야 한다. 에디슨은 다양한 전압하에서 전구에 전류를 흘려보냈는데 전압이 너무 높으면 예민한 필라멘트가 금세 끊어졌고 전압이 너무 낮으면 불빛에서 깜빡거림 현상이 나타났다. 에디슨은 무수한 시행착오를 겪은 뒤에 직류전기를 110볼트로 공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지금도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일본 등에서는 각 가정에 110~120볼트의 전기가 공급되고 있다.(pp.84~85) 박병철(2007). 표준전쟁.
과학과 공학은 실과 바늘처럼 대단히 밀접한 분야면서도 그 역할이 서로 다르다. 잘 알다시피 과학이란 자연현상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혹은 탐구해 얻은 지식을 체계적으로 쌓아놓은 것 자체를 과학이라 부르기도 한다. 결국 과학자가 하는 일은 자연에 대한 정보를 조직적으로 얻거나 수집하는 것으로, 그 과정은 어떤 자연현상을 면밀히 관찰하고 그것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해 가정을 세우며 다시 이 가정이 맞는지를 실험을 통해 검토함으로써 과학법칙을 수립하는 것이다. 그러면 엔지니어란 무엇인가? 엔지니어는 과학자와 전혀 다른 직업이다. 엔지니어는 과학자들이 풀어낸 지식에 기초를 두고 인간의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면서, 그 과정에서 이윤을 추구하는 직업이다. 예를 들어 '사계절'이라는 과학적 지식을 기초로 하여, 여름에 미..
고등학교 기술과목을 8년째 가르치면서 내용의 변화가 없다보니 가르치는 방법에 있어서도 8년전의 그때와 크게 변함이 없다. 단지 그 때에 비해 달라진 것이 있다면 수업에 대한 두려움이 줄었다는 것이다. 경험 때문일 것이다. 2학기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에너지 단원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조금은 고민해 본다. 에너지 단원의 키워드를 전기로 잡고 전기에 관한 최근 이슈를 수집하여(대규모 정전) 이를 바탕으로 수업을 전개해보려고 한다. 내용학에 대한 공부가 미흡하다보니 수업의 질이 개선되질 않는다. 많이 알아야 잘 가르칠 수 있을 것 같다는 것이 현재의 입장이다.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