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 2010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저자
- L. S. 비고츠키 지음
- 출판사
- 학이시습 | 2009-11-30 출간
- 카테고리
- 인문
- 책소개
- 그의 저술이 서방세계에 알려지던 순간, 모두가 다음과 같이 평가...
최근에 와서 우리는, 발달 과정과 학습 능력 사이의 진정한 관계를 발견하기를 원한다면 발달 수준을 결정하는 일만 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에 주의를 기울이게 됐다. 우리는 최소한 두 가지 발달 수준을 결정해야만 한다.
첫 번째 수준은 '실제적 발달 수준'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다. 이는 이미 완수된 발달 주기의 결과로 정해진 아동의 정신 기능 발달 수준을 말한다. 검사를 사용해 아동의 정신 연령을 결정할 때, 우리는 실제적 발달 수준을 다루고 있는 것이다. 아동의 정신 발달에 관한 연구들은 아동이 혼자서 할 수 있는 것들이 정신 능력의 지표라고 가정한다. 아동에게 여러 검사를 하거나 다양한 난이도의 여러 과업을 수행하게 하여, 아동이 어떤 난이도의 과업을 어떻게 해결하는가를 기반으로 아동의 정신 발달의 정도를 판단한다. 반면에, 안내하는 질문을 제공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보여줬을 때 아동이 그 문제를 해결한다면, 혹은 교사가 문제 해결을 시작하고 아동이 이를 끝낸다면, 또는 다른 아동들과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한다면-간단히 말해서, 아동이 문제의 독립적인 해결에 아주 조금 못 미친다면-이러한 문제 해결은 아동의 정신 발달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이러한 '진실'은 익숙한 것이었고, 상식에 의해서 강화돼 왔다. 지난 10년 동안 가장 심오한 사색가들도 이러한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다. 그들은 아동이 혼자서 할 수 있는 것보다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어떤 의미에서는 아동의 정신 발달을 더 잘 보여준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
한 가지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다. 내가 취한 아동 두 명을 연구한다고 가정해 보자. 둘 다 생리적 나이가 10세이고, 정신 발달 연령은 8세다. 이들은 정신적으로 같은 연령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것은 8세 난이도의 표준화된 과업들을 '독립적으로' 다룰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내가 여기서 멈춘다면 사람들은 이 아동들을 위한 정신 발달과 학교 학습의 다음 코스가 동일할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왜냐하면 정신발달과 학교학습은 그들의 지력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요소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아동이 반 년 동안 아파서 학교에 못 다니고, 다른 아동은 결석 없이 학교를 다닐 수 있다. 그러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한다면, 일반적으로 이 두 아동의 운명은 같아져야 한다. 이제 내가 이 시점에서 연구를 끝낸 것이 아니라 지금 막 시작한다고 상상해 보자. 이 아동들은 8세 수준의 문제들을 다룰 수 있고 그 이상의 수준은 다룰 능력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내가 이 아동들에게 문제를 다루는 다양한 방식을 보여준다고 가정해 보자. 여러 실험자들이 여러 사례별로 여러 가지 교수 방법을 채택했다고 하자. 어떤 실험자는 전체 과정을 한꺼번에 보여주고, 아동에게 반복해 보라고 요구할 것이다. 어떤 실험자는 해결책을 시작해 놓고 아동에게 완수해 보라고 요구할 것이다. 어떤 실험자는 안내하는 질문들을 제공할 것이다. 요약하면, 나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이 아동들이 내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첫 번째 아동은 12세 수준의 문제들을 다룰 수 있고, 두 번째 아동은 9세 수준의 문제들을 다룰 수 있었다고 한다면, 이 두 아동이 정신적으로 같은 수준인가?
정신 발달 수준이 동일한 아동이라도 교사의 지도하에 학습 능력이 매우 달라지기 때문에 이 두 아동은 정신적으로 같은 연령이 아니며, 이들의 후속 학습 코스도 매우 다를 것이다. 이러한 8세와 12세 사이의 차이 혹은 8세와 9세 사이의 차이를 우리는 '근접발달영역'이라고 부른다. 근접발달영역은 실제적 발달 수준과 잠재적 발달 수준 사이의 거리다. 실제적 발달 수준은 독립적 문제 해결에 의해 결정되고, 잠재적 발달 수준은 성인의 안내 혹은 더 능력 있는 또래들과의 협동을 통한 문제 해결에 의해 결정된다(pp.132-134).
'공부 > 교육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의성을 지휘하라. (0) | 2016.11.16 |
---|---|
전문가가 되는 법 (0) | 2015.11.09 |
전문가와 장인정신 (0) | 2013.08.13 |
경험과 지식 (0) | 2013.04.12 |
독창성(새로움)에 관하여, 새로움의 정도 (0) | 2013.04.12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