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아마도 창의성에 관해 모두가 동의하는 한 가지 사실은 창의성이 독창성과 관련 있다는 점일 것이다. 이는 창의성이 단순히 독창성의 한 종류라는 의미는 아니다. 독창성은 창의성의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다. 애석하게도 창의성이 독창성과 관련 있다는 생각은 곧바로 또 다른 질문을 야기한다. 즉, 독창성이 무엇이냐는 것이다. 하지만 다행인 것은 독창성이라는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는 일은 창의성을 조작적으로 정의하는 일에 비해 조금은 수월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독창성은 '통계적 희소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독창적인 것들은 일반적이지 않다. 독창성이란 아주 독특한(unique)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단순히 드문(unusual)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독창성이란 새로운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모두 객관적으로 판단될 수 있는 성질들이다. 만약 1천 명 중 단 한 사람이 특정한 문제에 해당을 제시했다면, 그것은 독특한 것이라고 객관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므로 독창적이라고 할 수 있다.(pp. 39-40)

 

  - 산물이 새로워야 한다는 것은 이미 존재하는 것의 반복이나 복제를 넘어서야 한다는 의미다.  새로움이란 산물을 만든 그 개인에게만 독차적일 수도 있고(이는 사회적 맥락에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아이디어를 재발명했다는 의미임), 제한된 어떤 사회집단에게만 독창적일 수도 있으며, 모든 인류에게 독창적일 수도 있다. 더욱이 한 영역 내에서도 새롭거나 독창적인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것은 1) 이미 알려진 아이디어를 새로운 방식으로 되풀이한 것이거나, 2) 그 분야의 흐름은 유지하면서 한 단계 발전을 이룬 것이거나, 3)한 분야의 방향을 새롭게 이끈 것이거나, 4) 한 분야 내의 다양한 경향들을 통합한 것일 수 있다.(p. 78)

*와이즈버그 창의성 책 76쪽에도 같은 내용이 나옴.

 

 

- 임웅(2009). 창의성 그 잠재력의 실현을 위하여. 학지사.

'공부 > 교육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가와 장인정신  (0) 2013.08.13
경험과 지식  (0) 2013.04.12
창의적 산물  (0) 2013.04.12
관찰과 관련하여  (0) 2013.04.09
창의성 발현에 인문학이 왜 도움이 될까?  (0) 2013.04.0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