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그것은 더 많은 사실에 관한 지식을 요구하기 때문일 수 있다.
그것은 더 추상적인 내용이기 때문일 수 있다.
그것은 한 교과가 다른 교과에게 요구되지 않는 기술, 절차, 사고방식을 요구하기 때문일 수도 있고,
심지어 한 교과가 다른 교과를 어떤 방식으로든지 전제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추상성과 복잡성과 같은 요인이 여기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구체적이고 단순한 것보다는 추상적이고 복잡한 것을 파악하는 데에 더 곤란을 느낀다.
학습 사태에서 추상성과 복잡성은 곤란성의 의미 기준이라는 뜻이다.
한 교과가 다른 교과보다 더 추상적이고 복잡하다면 그것은 필연적으로 다른 교과보다 더 어렵다는 것이 당연한 귀결로 따라 나온다.
이홍우(역)(2010). 교육인식론 : 경험과 이해의 성장. pp. 250
'공부 > 교육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화(敎化)에 대하여 (0) | 2016.04.04 |
---|---|
애매하다 모호하다 (0) | 2016.03.20 |
'가르친다'는 말의 의미 (0) | 2013.10.23 |
교육받은 사람이란 (0) | 2013.10.23 |
훈련에 관하여 (0) | 2013.10.23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