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 2010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저자 L. S. 비고츠키 지음 출판사 학이시습 | 2009-11-30 출간 카테고리 인문 책소개 그의 저술이 서방세계에 알려지던 순간, 모두가 다음과 같이 평가... 최근에 와서 우리는, 발달 과정과 학습 능력 사이의 진정한 관계를 발견하기를 원한다면 발달 수준을 결정하는 일만 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에 주의를 기울이게 됐다. 우리는 최소한 두 가지 발달 수준을 결정해야만 한다. 첫 번째 수준은 '실제적 발달 수준'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다. 이는 이미 완수된 발달 주기의 결과로 정해진 아동의 정신 기능 발달 수준을 말한다. 검사를 사용해 아동의 정신 연령을 결정할 때, 우리는 실제적 발달 수준을 다루고 있는 것이다. 아동의 정신 발달에 관한 ..
기술교육에서 내재적 가치란 무엇인가? 학생들이 기술에 관해 공부(활동)하는 가운데 대체 어떠한 교육내용(가치 있는 활동에 내재해 있는)에 매력을 느끼는가? 입시 위주의 교육 때문에 기술교육이 학생들에게 매력이 없다는 핑계 말고, 진정으로 기술교육에서의 사고의 형식(개념군과 검증방법)상에 매력이 있는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그래야 기술교육이 산다. 아마 가장 위대한 교육자들은 내재적 가치의 불빛을 아동에게 끊임없이 비쳐 줌으로써, 그 가치를 부지불식간에 전달할 수 있는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윤리학과 교육, p. 90).
윤리학과 교육 저자 R.S.피터즈 지음 출판사 교육과학사 | 2003-04-25 출간 카테고리 인문 책소개 교육철학의 개론서. 교육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교육에 있어서의 ... 사고의 형식들은 각각 독특한 '내용'(이른바 '지식'이라고 하는 것)과 그 내용을 축적하고 비판하고 수정하는 방법으로서의 '공적 절차'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그것들은 각각 특유의 개념군과 검증 방법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과학을 배우는 경우에는 '질량', '힘', '속도', '중력' 등의 개념을 이해해야 하며, 그와 함께 그런 개념으로 성립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실험이나 관찰의 방법을 배우지 않으면 안된다. 이 내용과 방법은 모두 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p. 69). 기술교육에서 개념군은 무엇이고 검증방..
윤리학과 교육 저자 R.S.피터즈 지음 출판사 교육과학사 | 2003-04-25 출간 카테고리 인문 책소개 교육철학의 개론서. 교육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교육에 있어서의 ... '가르친다'는 말은, 그 표준적 어의로 보면, 적어도 그 과정 중의 어느 시점에서는 교사가 자기의 견해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그것을 이해하고 독립적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것, 학생들이 이해를 요청할 때 거기에 응하는 것, 학생들이 충분히 설명을 받았다고 생각할 때까지 설명을 계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어떤 사람에게 이러 이러한 점을 믿게 하였다고 하여, 그것만 가지고, 그에게 그것을 가르쳤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다. 예컨대 사기(詐欺)는 '가르치는' 방법 내지 방식이 아니다. 가르친다는 것은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윤리학과 교육 저자 R.S.피터즈 지음 출판사 교육과학사 | 2003-04-25 출간 카테고리 인문 책소개 교육철학의 개론서. 교육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교육에 있어서의 ... 과학에 관하여 알고 있고 과학적인 사고와 실험을 할 수 있으면서도 진리를 발견하는 일을 소중히 여기지 않거나 과학을 순전히 물질적인 진보를 이룩하는 수단으로만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우리는 이런 사람을 '교육받은'사람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교육받은'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는, 과학과 같은 교과를 소중히 여기며 자기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p. 45). 과학자라고 하더라도 어렸을 때에는 전연 흥미가 없었던 실험을 하도록 강요되었을 경우도 있다. 그와 같이 엄격한 감독하에서 실험을 되풀이하도록 훈련을 받..
윤리학과 교육 저자 R.S.피터즈 지음 출판사 교육과학사 | 2003-04-25 출간 카테고리 인문 책소개 교육철학의 개론서. 교육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교육에 있어서의 ... '훈련'이라는 것은 제한된 기술이나 사고 방식을 길러 주는 것임에 비하여 '교육'은 보다 폭넓은 신념 체계를 다룬다는 것이다(p.36). '훈련'은 제한된 상례적 상황에서 적절한 상황 판단 및 반응 습관을 획득하게 하는 것으로, '교육이 함의하고 있는 폭넓은 안목의 습득과는 무관하다(p. 38). '훈련'의 개념은 특수한 목적내지 기능을 위하여, 또는 특수한 사고 방식이나 실천의 규범에 맞게 사용될 것을 전제로 하여 기술이나 능력이 습득되는 경우에 적용된다(p. 40).
- Total
- Today
- Yesterday